[TIL #11] 행렬의 곱셈
·
Camp/T.I.L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49 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programmers.co.kr 학교에서 행렬을 배웠던 기억이 난다.그땐 "뭐 이런 게 다 있어. 불편해 죽겠네."라고 생각했었다.그래서 그렇게 깊게 공부하진 못했던 것 같다.이제 와서야 행렬이 대단히 중요한 개념임을 인식은 한다만... 행렬의 덧셈과 뺄셈은 간단했다.그냥 눈에 보이는 대로 계산만 하면 됐다.곱셈은 확실히 귀찮았다.행렬의 사이즈가 커지면 정말 재앙이 따로 없었다.그런 기억을 떠올리며 코드를 써 보자.먼저 일반적인 형..
[TIL #8] H-Index 구하기
·
Camp/T.I.L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747 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programmers.co.kr 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H-Index라는 것을 사용한다고 한다.학부 졸업도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이었고, 당연히 논문을 쓸 만한 적극적인 연구 활동을 해 본 적도 없으니,꽤 생소한 개념이었다. H-Index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한다고 한다. "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,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,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..